본문 바로가기

ctf33

what's a net cat? 문제 풀어보기 net cat을 사용해 보는 문제    netcat은 네트워크 디버깅, 포트 스캐닝, 데이터 전송에 쓰이는 도구이다. 위 문제에서는 접속할 주소와 포트번호를 줬고, 명령어 대로 사용해 보면 된다. ex) nc [서버] [포트]  자체 웹쉘을 지원하고 있지만 리눅스에서 실행시켰다.   위 문구와 함께 플래그를 얻을 수 있었다.      끝🙄 2025. 2. 20.
Lets Warm Up 문제 풀어보기 웹 문제들이 너무 어려워 일반 스킬도 쉬운 거부터 차례대로 풀어보기로 했다.      16진수 0x70을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면 플래그가 된다. 인터넷에 검색하면 변환해 주는 사이트가 많이 있지만 제대로 변환이 안 되는 곳이 많아 코드표를 보는 게 빨랐다. 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ASCII ASCII - WikipediaFrom Wikipedia,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character encoding standard ASCIIMIME / IANAus-asciiAlias(es)ISO-IR-006,[1] ANSI_X3.4-1968, ANSI_X3.4-1986, ISO_646.irv:1991, ISO646-US, us, IBM367, cp367[.. 2025. 2. 19.
Some Assembly Required 1 문제 풀어보기 직역하면 일부 조립이 필요하다는 뜻이지만 구글에 검색하면 캐나다 시트콤이 나온다. 도중에 잘못된 방법으로 문제를 풀다 결국 검색의 도움을 받아서 플래그를 얻었다.      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flag를 입력할 수 있었다.별 방법은 없어 소스창에 들어가 보니 복잡한 js파일을 찾을 수 있었다.   전체 코드를 보여줄 수 없지만 전에 풀었던 문제 중 난독화 관련 문제와 비슷해 보였다.     0x1~로 시작되는 여러 값과 배열을 매치시킬 수 있을 거 같았다. 하지만 어떤 값이 어디에 들어가는지 몰라 쭉 훑어보던 중 코드 중간에 나온 fetch와 WebAssembly에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.  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Fetch_API/Usi.. 2025. 2. 4.
login 문제 풀어보기 웹사이트 로그인을 할 수 있냐는 문제였다.     사이트는 평범했다. 아무 값이나 입력해 보면 틀렸다는 alert창이 뜬다.     소스창을 분석해 보니 btoa, atob 메서드를 사용한다는 것과return 값에서 중요한 값들이 하드코딩 되어 있는 걸 알 수 있었다.  btoa()는 문자열을 Base64로 인코딩 된 문자열을 만들어주고,atob()는 인코딩 된 문자열을 다시 디코딩해 주는 메서드라고 한다. 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Window/btoa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Window/atob return 줄은 "YWRtaW4"가 u가 아니라면 Incoreect Username.. 2025. 1. 31.
728x90